한방 건강정보
진료실에서 아직까지도 몸의 저항력을 강하게 만들어 질병을 치료하거나 질병이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해주는 고마운 존재인 한약에 대해, 많은 국민들이 잘못 생각하는 경우를 흔히 접하게 된다.그 중 하나가 ‘무더운 여름에 한약을 먹게 되면 약 기운이 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효과가 없지는 않을까’하는 의문인 것이다. 결론부터 말하면 이는 한약에 대한 잘못된 상식을 가지고 있는데서 오는 불필요한 궁금증에 지나지 않는다. 물론 국민들이 이렇듯 한약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것은 1차적으로는 우리 한의계의 올바른 홍보가 부족했기 때문이지만 국민들이 다 이처럼 잘못된 상식을 가지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한약은 곧 보약이라는 생각과 치료약이 아니라는 잘못된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.
한번더 상식에 준하여 생각해보자 여름철 삼복더위에 삼계탕 보신탕 염소탕등을 먹고 땀을 흘리면서 시원하다고 이야기를 하는 경우를 우리는 흔히 볼 수 있다.이 더위에 더운 음식을 먹고 시원하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우리의 피부조직이 여름철에는 활짝 열려 적절히 땀도 내면서 살아야 하는데 덥다고 시원한 곳만 찾아다니고,정신은 늘 근심 걱정이 많으니 자연히 피부는 오그라들게 된다.이러한 생활속에서 피부가 제대로 호흡을 못하므로 우리들의 몸과 마음은 갑갑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.이런 상황에서 더운 음식을 먹어 땀 구멍을 열어주니 피부가 제대로 호흡을 시원하게 하니 얼마나 시원하겠는가 . . . 따라서 ‘여름철에 한약을 먹게 되면 약기운이 땀으로 흘러 나오기 때문에 효과가 없을것’ 이란 잘못된 상식은, 오히 려 ‘여름철에 체질과 질병에 따라 한약을 복용하게 되면 땀의 배출을 적당하게 조절해 주므로 효과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다’ 로 바뀌는게 옳을 것이다. 대한한의사협회 알기쉬운 한의학 도서출판 초락당 발췌 |